중력 모형 (gravity model)
경제학을 비롯한 사회과학적 연구에 있어 물리학의 모델, 공식을
가져오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이야기가 있다.
중력모델도 그런 사례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 같다.
중력 모형(gravity model)을 소개하려고 한다. 질량이 있는 물체는
서로 끌어당긴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사회현상에 적용하는 공식으로 볼 수 있다.
보통 이 모형은 무역, 국제경제학에서 활용되는데
두 지역 간의 물자 이동, 두 지역간의 흐름의 양을
추정하는데 이용된다.
1962년 최초로 tinbergen에 의해 시작되어
Deardorff(1984), Krugman(1979, 1981) 등의 노력으로 발전해온 모델이다.
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서
중력을 인구밀도?규모로 대체하여 추정하는 방식
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.
도시 간의 상호작용은 각 도시의 인구규모에 비례하며
두 도시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설명을 통해 물자이동량을 추정하는 것이다.
회귀분석(Regresstion Analysis) (3) | 2020.04.01 |
---|---|
개발경제학이란? (4) | 2020.03.10 |
내생적 성장이론(Endogenous Growth Theory) (0) | 2019.08.18 |
실물적 경기변동이론 - Real Business Cycle Theory(RBC) (1) | 2019.08.17 |
농업경제학, 식품자원경제학 이란? (1) | 2019.08.13 |